본문 바로가기

자격증 공부/정보처리산업기사

운영체제 ! 프로세스 관리

(1)  프로세스의 상태 전이

 

1. Ready : 프로세스가 프로세서 할당받기 위해 기다리는 상태

2. Running : 프로세서를 할당받아 실행 되는 상태

3. Block : I/O 인터럽트 발생시, 현재 실행중인것이 중단되고, 대기 상태로 전이 됨

4. Wake Up : I/O 인터럽트 처리 완료 후, WakeUp 되며, 다시 Ready 상태로 전이 됨. ★★

5. DisPatch : 준비 상태의 프로세스 중 하나가 스케쥴링 되어 cpu 를 할당받아 실행상태로 전이되는

 과정

 

(2) 스레드

-> 프로세스 내에서의 작업 단위, 경량 프로세스 라고도 함

 1) 사용자 수준의 스레드

   : 사용자가 만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스레드를 운용, 속도는 빠르지만 구현어려움

2) 커널 수준의 스레드

  : 운영체제의 커널에 의해 스레드를 운용, 구현은 쉽지만 속도가 느림

 

(3) 문맥 교환

-> 그냥 많을 수록 안좋다 생각 !

cpu 가 할당 되는 프로세스를 변경하기 위해, 현재 cpu 상태를 psw 에 저장 하고 제어권을 인터럽트

서비스 루틴에 넘기는 작업을 의미,

즉, 인터럽트 발생시, 현재 상태 저장하고 인터럽트 처리할때 발생되는 작업임. 많을 수록 안좋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