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명령어의 구성
[ Operation ]|[Mode][Operand]
1) Operation 이란.
Op-code , Operation code 또는 명령 코드라고 불리우며, 영어 문법중 "동사" 에 해당한다.
어떠한 명령을 할 것인지에 대한 코드 부분이라 보면 된다.
2) Operand 란,
주소부, 자료부, 라고 불리우며, Operand 부분 앞 2비트 를, Mode , 나머지부분이 주소 부분에 해당.
영어 문법중 "목적어" 에 해당 하며, 대상체에 대한 유효주소 또는 참조대상 을 뜻한다.
Op-code 부분은, 명령어 부분으로써, 크게 4가지의 분류로 나눌 수 있다.
(1) 함수연산
-> ADD , AND , ROR , ROL 등.. 즉 사칙연산, 논리연산 등
(2) 자료전달
-> Load , Store , Move 등 즉, 자료를 전달 해라 로드해라 이런 명령어
(3) 제어문
-> 분기명령 , 즉 Jmp , Goto , if 문 등 .
(4) 입/출력
-> inp, out 입 출력에 관한 명령
Operand 는 mode 에 따라 주소지정 방식이 달라진다.
(1) 즉시 주소 지정 방식 : op-code 다음에 유효주소가 아닌 값을 바로 입력하여, cpu가 바로 처리
즉, 주 메모리를 참조 하지 않고, 명령 해독 후 바로 연산을 처리하게 되는데, 값의 길이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, 그닥 좋지않음,
영어로 : Immediate Address Mode 나올수도 있다.
(2) 직접 주소 지정 방식 : Op-code 다음에 유효주소를 전달한다. MAR 은 유효주소에서 값을 읽어와
MBR에 저장 하게 되는데, 즉 주 기억장치 1번 참조 하게 된다. 주 기억 장치를 1번 참조 하게 됨으로써, 메모리 참조에 제한이 발생 되는데, 이는 Operand 부분에 모든 주소값을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. 길이에 제한이 있다. 그리하여 간접 주소 지정방식을 사용한다.
영어로 : Direct Address Mode
(3) 간접 주소 지정 방식 : Op-code 다음에 유효주소의 주소가 전달된다. 주기억장치를 2번 참조 해야하지만, 메모리 공간의 참조에 제한이 없어진다고 생각하면된다.
영어로 : Indirect Address Mode
(4) 상대 주소 지정 방식 : 유효주소 + PC , 즉 Operand + program counter 를 하여 유효주소를 얻는다. 연산 하여 유효주소값을 얻게 된다.
영어로 : Relative Address Mode
주소 설계시 고려 사항 으로는
1) 표현의 효율 성
2) 사용의 편리성
3) 주소공간과 기억공간의 독립성 이 있다. ★
베이스 레지스터 : 명령이 시작되는 초최의 번지를 기억하고 있다.
리엔트란시 ( Re-entrancy )
-> 한사람 이상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명령어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제공
-> 인덱스 레지스터 + 간접번지 방법으로 이용함.
0 - 주소 명령어
-> Operand 부 없이, Op-code 만으로 구성
모든 연산은, Stack 에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
1 - 주소 명령어
-> Operand 부가 1개로 구성
반드시 ★ 누산기 ★ 가 필요한 주소 지정 방식
2 - 주소 명령어
-> Operand 부가 2개로 구성
보통의 pc에서 사용함, 단점으로 전체 프로그램 길이 증가함.
3 - 주소 명령어
-> Operand 부가 3개로 구성, 프로그램의 길이가 짧아짐,
'자격증 공부 > 정보처리산업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자계산기 구조,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(0) | 2012.12.22 |
---|---|
전자계산기 구조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! (0) | 2012.12.20 |
3강 프로세서 (0) | 2012.12.19 |
3강, 자료의 내부적 표현 (0) | 2012.12.19 |
전자계산기 구조 2강 ! 논리 회로 ! (0) | 2012.12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