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자격증 공부/정보처리산업기사

데이터통신,정보통신! 데이터통신망

 

 

1) 회선 구성 방식

* 포인트 투 포인트 ( P - T - P )

* 멀티 드롭 ( 멀티 포인트 ) : MUX 으로 연결된 형태 , 꼭 하나의 공유된 회선이 있어야함

* 멀티드롭 선로에 연결할 수 있는 단말기의 수 결정하는 요인

- 선로의 속도

- 단말기에 의해 생기는 트래픽

-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처리 능력

2) 회선 제어 방식

1) 경쟁 방식

* 회선 제어 방식 중 가장 간단한 형태

* 회선의 접근을 위해 서로 경쟁하는 방식으로 송신 요구를 먼저 한 쪽이 송신권을 갖음

* P-T-P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어 관계가 대등한 단말에 많이 사용 ( ★ )

* 대표적인 시스템으로 ALOHA 가 있음

* 데이터 링크를 설정하고자 하는 단말장치가 주국이 되어 시행 됨

2) 폴링과 셀렉션 방식

(1) 폴링 ( Polling )

- 컴퓨터가 단말기에게 전송할 데이터의 유무를 묻는 방식

(2) Selection

- 컴퓨터가 단말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, 터미널의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

 

3) 네트워크의 구조

- 기능 배분을 최적화 하여 컴퓨터 통신망의 효율적인 구축을 도모하기 위한 기본 구조

1) 네트워크의 논리적 구성 요소

* 사용자 프로세스 : 정보처리나 통신을 하는 장치

* 노드 : 교환기

* 링크 : 통신회선

2) 네트워크의 구성 형태

* Mesh 형 ( Fully Connected ) 구조

- 회선 개수구하는거 n(n-1) / 2 개

- 완전 연결형, 돈이 많이듬

* Star 형 ( 중앙 집중 형 ) 구조

- 주프로세서 를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망제어를 가장 간편히 할 수 있슴.

* Ring 형 ( 루프 형 ) 구조

- 한 노드가 절단 되어도 우회로를 구성하여 통신이 가능

- 트래픽이 일정한 시스템에 적합

-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가장 많이 채택되고 있는 방법임

* Bus 형

- 한개의 회선을 여러 대의 단말 장치가 연결

* Tree 형

- 분산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식

3) 통신망을 구축하여 얻을 수 있는 장점

*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의 공용화

* 부하의 분산 및 효율성 향상

* 데이터베이스 공용 및 시차의 활용

4) 데이터 교환 기술

1) 회선 교환 방식

* 전화기 생각 하면 됨. 통신 회선 연결이 선행되어야 하고, 종료될때까지 계쏙 유지 됨

특징

* 연속적인 메시지 전송에 적합

* 고정 대역폭 사용하고, 동일한 물리적 경로를 따름

* 일단 통신경로가 설정되면, 어떠한 제약도 따르지 않음

통신 과정

* 호(call) 설정 -> 데이터전송 -> 호 해제

2) 메시지 교환 방식

* store - and - forward

* 전송 지연 시간이 가장 김

* 대화형 데이터 전송에는 부적절

* 스토어 앤 포야드의 장점을 따서 가상회선방식을 만듬

3) 패킷 교환 방식

* 데이터 블록으로 나누어 교환 하는 방식

* 선택해서 전송 하는 방식

4) 가상 회선 방식

* 송수신국 사이에 논리적 연결이 설정됨

* 별도의 호 설정 과정이 있다는 것이 회선교환방식과의 공통점임

 

5) 패킷을 분해하고 조립 하는 장치

* PAD ( Packet Assemble Dassemble )

5) 패킷 교환망 ( PSDN )

* 패킷 교환망 특징

- 패킷 단위로 전송

- 부호나 처리속도가 다른 단말장치 사이의 통신이가능

- 축적 전송 기능에 의해 패킷 다중 전송이 가능

* 패킷 교환망의 기능

- 순서 제어

- 경로 제어

- 트래픽 제어

- 에러 제어

- 패킷 다중화

- 논리 채널

* X.75

- 망간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을 규정하고 있는 권고안

* 전파지연

- 신호가 한 노드에서 다음 노드로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

* 브리지 (Bridge)

- 프로토콜 변환 x 이기종의 network 연결 x

* 경로 설정 프로토콜

- IGP : 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

- RIP :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

- EGP :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

- BGP : 여러 자율 시스템 간 라우팅 정보를 교환

- ICMP

* 경로 설정 알고리즘

- 범람 경로 제어 : 모든 경로로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

- 고정 경로 제어 : 접속로의 선정을 행하는 링크 선택 방식

- 적응 경로 제어 ( Adaptive Routing )

- 임의 경로 제어 ( Random Routing 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