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자격증 공부/정보처리산업기사

데이터 통신, 정보통신 개론 ! 통신 프로토콜

 

1. 프로토콜의 3대 구성 요소    

* 구문 ( Syntax ) : 형식

* 의미 ( Semantic ) : 제어 정보를 포함함

* 타이밍 ( Timing) : 동기, 속도를 맞추는 것

2. 프로토콜의 기능

* 동기제어

* 분리와 재결합 ( PAD : Packet Assembler Deassembler )

* 흐름제어

* 순서제어

* 주소지정

* 요약화

* 에러 제어

* 경로 제어

* 다중화

 

3. 캡슐화

* 실제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첨부하는 과정

 

4. 프로토콜의 전송 방식

* 문자 방식 : BSC

* 바이트방식 : 프레임의 헤더에 프레임의 제어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방식

* 비트 방식 : SDLC 가 발전하여 HDLC

5. 계층화된 프로토콜의 장점

* 모듈화에 의한 전체 설계가 쉬움

* 다른 기종간의 호환성 유지가 쉬움

* 한 계층을 수정할 때 다른 계층에 영향을 주지 않음

6.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

* 인접 통신 장치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 보장

* 흐름 제어 전송 제어 링크 제어 오류 제어 등

7. OSI 7계층 모델의 목적

* 시스템 상호간을 접속하기 위한 개념을 규정

* OSI 규격을 개발하기 위한 범위를 정함

* 관련 규격의 적합성을 조정하기 위한 공통적인 기반을 제공

8. OSI 7계층 모델 구조의 원칙

* 적절한 수의 계층을 두어 시스템의 복잡도를 최소화 함

* 서비스접점의 경계를 두어 되도록 적은 상호작용이 되도록 함

* 인접한 상 하위 계층 간에는 인터페이스를 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