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자격증 공부/정보처리산업기사

데이터통신 ! 전송제어, 에러제어

1. 전송 제어 프로세스 ( ★ )

1) 데이터 통신 회선의 접속

* 물리적 계층 : RS-232C , V.24

2) 데이터 링크 설정(확립)

* BSC , HDLC  규격을 이용한 신뢰성 있는 전송을 함

* BSC : Frame 규격을 사용, 문자 방식, 반이중 방식 ( Half Duplex )  ( ★ )

- 프레임 구조

* SYN : 동기 맞춤 문자 ( ACK : 긍정 , NAK : 부정 ) ( ★ )

* SOH : 헤딩의 게시를 표시

* STX : 실제 전송할 데이터의 시작점

* ETX : 본문의 종료  ( ★ )

* ETB : 블록의 종료

* EOT : 한개 또는 그 이상의 전송 종료를 표시 ( ★ )

* 에러 제어 : BBC : Stop-and-Wait 방식을 사용함

* HDLC : 비트방식 , 반이중 & 전이중 방식

*링크의 구성 형태 : 주스테이션, 부스테이션,혼합스테이션

-특징

* 정보 전송 단위가 프레임

* 전송 제어상의 제어를 받지 않고 문자 코드 종류와 무관하게 투명하게 동작

   (비트 투과성)

* 단방향,반이중,전이중 모두 사용 가능

* Go-Back-N ARQ 에러 제어 방식을 사용함

-프레임 구조

* Flag : Syn 동기 맞춤

* Address : 주소

* Control : 데이터의 종류를 표시

* FCS : 에러 제어  ( CRC 를 사용함 ) , Go - back - N 방식을 사용함

-프레임 종류

* 정보 프레임 ( I-frame ) : 제어부가 0 으로 시작, 사용자 데이터 전달

*감독 프레임 ( S-Frame) 제어부가 10으로 시작, 흐름제어 에러제어

*비번호 프레임 ( U-Frame) 제어부가 11로 시작 , 링크의 동작모드 설정 관리

3) 정보 메시지 전송

4) 링크의 종료(해제)

5) 데이터 통신 회선의 절단

 

 

6) 해밍 코드

2의 N 승 자리에 패리티 비트를 부침

2의 0승 : 1

2의 1승 : 2

2의 2승 : 4

2의 3승 : 8            .. 의 자리에 패리티 비트를 붙임

7) 에러 제어 방식

* 전진적 에러 수정 방식 ( FEC )

- 해밍 코드 . ( ★ )

* 자동 반복 요청 ( A R Q )  ( ★ )

- Stop And Wait ( BSC 방식에서 사용 함 )

- Go back N ( HDLC 방식에서 사용 함 )

- Selective ( 에러난 프레임을 선택해서 보냄 )

- Adaptive ( 데이터 블록의 길이를 채널의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해서 보냄 )

 

8) 전송 트래픽 제어

1) 흐름 제어

- 프레임의 속도를 제어

2) 혼잡 제어

- 트래픽의 혼잡을 제어

3) 교착 상태 회피( ★ )